|
|
|
연혁 |
|
충청북도의사회는 8ㆍ15해방 다음해인 1946년 4월 정홍섭, 이종숙, 장덕진, 서형수, 정인회, 신필수 등 청주시내에 거주하는 의사들이 모여 의사회를 조직하고 초대회장에 정홍섭, 부회장에 이종숙, 장덕진을 선출함으로써 발족했다. 그리고 이듬해인 1947년 5월 10일 전국 규모의 중앙회가 재발족할 때에는 정홍섭, 장덕진, 서형수, 정인회 등 4명을 대의원으로 파견해 조선의학협회 창립을 뒷받침 앴으며, 장덕진 부회장이 중앙회 이사로 선출되기도 했다. 1949년 7월 중앙회 대의원총회때에도 정홍섭, 장덕진, 이종숙 등을 충청북도 대의원으로 파견했으나, 1950년 6ㆍ25동란 와중에 정홍섭 회장이 실종됨으로써 한동안 의사회 기능이 중단되기도 했다. 1952년 10월 9일 다시 총회를 열어 회장에 이명구, 부회장에 이종숙, 이진성 등을 선출해 재건됐으며, 1953년 2월 7일 충청북도지사로부터 설립인가를 받아 법적 뒷받침을 확보했다. 그 후 1955년 10월 열린 정기총회결의로 행정구역상의 시․군마다 의사회를 조직하여 도내 전체 회원들이 참석하게 되었으나, 1961년 5ㆍ16혁명 직후 다시 해체되었다가 그해 9월 1일 재건총회를 열어 다시 재건되어 오늘에 이르렀다. 1961년 재건총회에서 회칙을 개정해 임원 임기를 2년으로 연장하는 한편 이사장제를 신설하면서 부회장제를 폐지하고 회무집행을 효율적으로 시행하기 위해 회장단밑에 총무, 학술, 사업, 재정 심사부장을 두었다. 그후 부장을 이사로 바꾸었으며 1965년 정기총회에서 이사장제를 폐지하고 부회장제로 부활시키고 1968년 4월 18일 정기총회때 회칙을 개정, 회원총회제를 대의원총회제(회원 5명당 대의원 1명씩)로 바꾸고 대의원회 의장을 선출했다. 1976년엔 회장임기를 3년으로 연장시켰으며 1977년엔 청주시의사회장을 자동 부회장으로 선임 부회장을 3명으로 증원하고, 총무이사를 기획이사, 사업이사를 의무이사, 심사이사를 법제이사, 재정이사를 재무이사로 각각 직책을 바꾸고 이에 학술이사와 공보이사를 추가하여 6명의 상임이사를 두어 회무를 분담토록 했다. ‘82년 정기총회에서 회칙을 개정 회장단 밑에 총무이사, 기획조사이사, 학술이사, 재무이사, 법제이사, 의무이사, 보험이사, 공보이사 등(총무이사 부활, 보험이사 신설) 모두 8명의 이사로 증원하고 ’88년엔 부회장 3명을 4명으로 1명 증원하였으며, 1993년엔 회원증가에 따라 대의원 수를 줄이기 위해 5명당 1명이던 대의원을 회원 10명당 1명으로 조정했다.
2001년엔 회칙을 부분 개정 대의원정수를 50명으로 하여 책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
|
◎ 고정대의원 : 18명 ◎ 시ㆍ군 의사회 12개의사회 (회원 10명당 1명씩) : 12명 ◎ 특별분회 - 충북대 병원 : 4명 / 건국대 병원 : 2명 ◎ 비례대의원 : 32명 |
|
2010년 정기대의원총회에서 회칙을 개정 부회장을 5명에서 7명으로 이사를 15명이내의 이사를 둘 수 있도록 하였으며 회칙 개정은 재적 대의원 3분의 2이상의 찬성을 얻도록 한 것을 재적대의원 3분의 2이상의 출석과 재석 대의원 3분의 2이상의 찬성을 얻어야 한다로 개정 하였다. |
| | |
|
|
중요 업적 |
|
창립 초기 무면허자 의료행위의 단속과 무의면에 의사배치를 행정당국에 건의하여 실효를 거둔바 있는 충청북도의사회는 벽지주민을 위한 순회진료사업과 대민봉사 사업의 일환으로 재해민 구호금갹출, 군경유자녀돕기 운동, 불우이웃돕기 운동 등에 앞장서 왔다. 한편 회원들을 위한 대내적인 사업으로는 연례학술대회 또는 의학강좌(보수교육)을 정기적으로 개최하여 소속 회원들의 자질향상을 꾀하는 한편 진료과정에서 발생한 의료사고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의료분쟁조정위원회를 설립하여 활용하고 있다. 그밖에 ▲의사인신구속 ▲의무직공무원의 처우개선 ▲진단서 발급 ▲의사면허세 폐지 ▲의료기관에 대한 금전등록기 설치 ▲의료보조원 양성화 문제 등에 앞장서는 등 회원들의 의권신장에 힘써 왔으며, ‘61년 부터는 청주과학대 간호학과 우수졸업생에게 도의사회장상을 매년 수여하고 있다. ‘73년에는 시ㆍ군의사회별로 관내 새마을 시범부락과 자매결연을 맺어 적극지원하고 있고, ’77년부터는 충청북도의사회보를 정기적으로 발간하여 회원들의 연구활동을 뒷받침하는 동시에 의사회에 대한 참여의식을 높이고 있다. 같은해 11월 충북도가 추진하는 충북 총화은행(현 충북개발회) 발족때에 도내 전회원이 5천여만원의 성금을 기탁, 총화은행의 상부상조 정신에 크게 기여했으며 ‘77~78년도에는 우리나라에서 처음 시도되는 의료보험업무 기반조성에 일익을 담당했으며 ’79년 5월 충북도에서 분산 개최된 제8회 전국소년체전때에는 남궁윤 회원이 5천만원을 기탁 남궁유도회관을 건립하기도 했으며 나정복 회원은 8천만원을 기탁 경노회관을 건립 청주시에 기증했고, 도내 회원들로부터 모금한 2천여만원을 충북 체육회에 기탁하는 등 충북의사회의 대외 지역사업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83년에는 도내 새마을지도자(남녀포함)전원에게 의료보험수가에 의한 의료시혜를 부여 새마을지도자 사기진작에 이바지 했다. ’89년 11월 27일에는 청주시 영동 56-2에 회관건립을 위한 부지 107평을 구입 멀지않은 장래에 자체회관을 가질 수 있는 터전을 마련했다. 또한 ‘91년도부터 충북의대, ’92년도부터 건국의대 졸업생 가운데 우수한 학생에게 도의사회장상을 주어 오고 있으며, ‘93년도부터는 상기 충북의대, 건국의대, 청주과학대 간호학과 학생 약간명에게 장금을 수여, 인재양성에 진력해 오고 있으며 각종 지역개발사업에도 적극 참여 매년 1천여만원의 예산을 책정 도내 불우시설을 비롯 재해성금, 전국체전 참가선수단 등 지원을 하고 있으며, ’2002년에는 4월 30일에 본회 역사이래 숙원사업이던 회관을 청주시 상당구 내덕1동 651-2번지에 대지 380평, 건물 연건평 230평을 구입 자체회관을 마련 지난 7월 15일 신상진 의협회장을 비롯 많은 내빈이 참석하에 개관식을 거행한바 있다. |
| | |
|
|
회세와 현황 |
|
창립당시 40여명의 회원으로 발족했으나 그간 회원수의 자연증가와 ‘85년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86년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설립 및 양의과대학 부속병원과 청주한국병원, 청주성모병원 전공의 수련병원이 탄생하여 2019년 2월 현재 수련병원 5, 3차병원 1, 종합병원 12, 병원 38, 의원 884군데가 있으며 1,737명의 회원이 소속되어 있고 산하에는 다음과 같이 3개시, 8개군, 2개 특별분회를 두고 있다. ▲청주시의사회 ▲충주시의사회 ▲제천시의사회 ▲증평군의사회 ▲보은군의사회 ▲옥천군의사회 ▲영동군의사회 ▲진천군의사회 ▲괴산군의사회 ▲음성군의사회 ▲단양군의사회 ▲충북의대특별분회 ▲건국의대특별분회 회무를 효율적으로 집행하기 위해 '2010년 회칙개정에 따라 현재 회장단 밑에 총무, 기획조사, 학술, 재무, 법제, 의무, 공보, 보험, 정보통신, 정책 등 15명의 상임이사를 두어 회무를 분담해오고 있으며 감사 3명을 두고 있다. |
| | |
|
|
역대 회장 명단 (충청북도) |
|
▲초대~4대(1946~50) 정홍섭 ▲5대~6대(1952~54) 이명구 ▲7대(1954~55) 이종숙 ▲8대~9대(1955~57) 장덕진 ▲10대(1957~58) 장덕진 ▲11대~12대(1958~60) 장덕진 ▲13대(1960~61) 이은숙 ▲14대(1961~62) 신필수 ▲15대(1963~65) 신필수 ▲16대~17대(1965~69) 김기복 ▲18대~19대(1969~73) 장덕진 ▲20대~21대(1973~76) 신필수 ▲22대(1976~79) 남궁윤 ▲23대(1979~82) 오경근 ▲24대(1982~85) 석영관 ▲25대(1985~88) 이진범 ▲26대(1988~91년) 박정열 ▲27대(1991~94) 김종덕 ▲28대(1994~97) 이형수 ▲29대(1997~00) 박세근 ▲30대(2000~03) 채수만 ▲31대(2003~06) 김기선 ▲32대(2006~09) 윤창규 ▲33대(2009~12) 오국환 ▲34대(2012~15) 홍종문 ▲35대(2015~18) 조원일 ▲36대(2018~2021) 안치석 ▲37대(2021~24) 박홍서 ▲38대(2024~27) 양승덕 |
|
|
|
역대 회장 명단 (청주시) |
|
▲초대~3대(1954~57) 오재근 ▲4대~5대(1957~59) 나봉춘 ▲6대(1959~60) 남궁윤 ▲7대~9대(1961~63) 김익제 ▲10대(1963~65) 최영운 ▲11대(1965~67) 이천득 ▲12대~14대(1967~73) 신필수 ▲15~16대(1973~76) 오경근 ▲17대(1976~79)이종옥 ▲18대(1979~82) 김락형 ▲19대(1982~85) 이호성 ▲20대(1985~88) 최성근 ▲21대(1988~91) 김종덕 ▲22대(1991~94) 이형수 ▲23대(1994~97) 박세근 ▲24대(1997~20) 채수만 ▲25대(2000~03) 나중환 ▲26대(2003~06) 윤창규 ▲27대(2006~09) 오국환 ▲28대(2009~12) 홍종문 ▲29대(2012~15) 조원일 ▲30대(2015~18) 안치석 ▲31대(2018~21) 박홍서▲32대(2021~24) 양승덕 ▲33대(2024~27) 이신노 |
| | | | |
|
|